티스토리 뷰
※ 계약조건에 따른 직매입, 특정매입, 임대매장 구분
소비자는 구분할수 없지만 백화점같은 유통업체에 입점해있는 매장들은 계약조건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눠지게 됩니다.
1) 직매입
-. 형태 : 유통업체에서 상품을 직접 매입해서 판매한다
-. 장점 : 협상력이 강화되기 때문에 높은 마진이 가능하다
-. 단점 : 재고부담이 발생한다.
2) 특정매입
-. 형태 : 유통업체에서 판매한 매출의 일정부분을 수수료로 받는다
-. 장점 : 재고부담이 없다. 상품구성의 유연성이 높다
-. 단점 : 직매입대비 마진이 적다, 수수료만 매출로 인식하기에 매출이 적어진다
3) 공간임대
-. 형태 : 유통업체에서 공간을 일정금액을 받고 대여한다.
-. 장점 : 계약기간내 고정적인 수입확보가 가능하다
-. 단점 : 임대료만 수익으로 인식하기에 매출이 적어진다
※ 직매입과 특정매입의 차이
유통업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직매입과 특정매입은 결국 재고에 대한 부담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특정매입의 재고부담은 납품업자에서 진행하지만 경우 수수료 부분만 매출로 인식하기 때문에 (대신 이익은 100%) 전체 매출크기는 적어진다는 점이 있습니다.
* 손익계산서상의 차이
상품을 판매하는 경우 매출총이익은 간단합니다. 1백만원에 구매해서(매출원가) 1.2백만원에 판매하면(매출) = 20만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(매출총이익)
직매입과 특정매입의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?
A상품은 직매입으로 1백만원 판매, B상품은 특정매입 (20%수수료)으로 1백만원 판매했다고 가정하면
순매출은 A는 1백만원을 전부 매출로 인식하는 반면, B는 납품업자에게 제공하는 매출원가를 제외한 수수료 20만원이 순매출이 됩니다. 손익계산서에는 이 20만원이 기록되게 됩니다.
즉, 회계기준에 의하면 직매입 판매매장은 판매액 전체를 수익으로 인식하고 특정매입은 수수료만 수익으로 인식합니다. 공간임대매장은 고정임대료를 수익으로 인식하는거지요.
'생활과경제 > 경제경영 용어설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손익계산, 수익과 이익 비용의 개념정리 및 관계이해하기 (0) | 2017.04.01 |
---|---|
기준금리 의미와 2010년이후 한국은행 기준금리변화 (0) | 2017.03.28 |
가중주가평균이란 무엇인가 (0) | 2017.03.24 |
가격결정 , pricing 란 무엇인가 , 가격결정의 과정 (0) | 2017.03.23 |
국민세금인 간접세와 직접세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17.03.20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한국은행금리
- nice지키미
- 엑셀숫자를문자로
- 세금종류
- 부동산용어
- 특정매입
- 채무자구제
- 한국은행기준금리변화
- 가압류신청
- 인도인구수
- 서울전세
- 가압류정의
- 계약조건에따른거래형태
- 수익과이익
- rank함수
- 가구와가구주
- RANK순위
- 국가별인구수
- 젊은층주거문제
- 엑셀직장인실무
- 비용개념정리
- RANK역순위
- 엑셀데이터입력
- 헬조선
- 가격결정과정
- 엑셀초보팁
- 기초경제용어
- 손익계산
- 공간임대
- 엑셀왕초보강좌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