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기초경제용어에 대해 구글에 알기쉽게 쓴글을 발견하여 공유드립니다. 머리에 팍팍 들어오더라구요 ^^
기초 경제용어 간단정리
경제: 경세제민(經世濟民)의 약자. '세상을 경영해 백성을 부유하게 한다'는 뜻
GDP : 대한민국 땅덩어리 안에서 생산된 모든 물질적 부를 합친 것. 3개월마다 한국은행이 발표
경기: 경제의 활동기운을 줄인말
수출경기: '수출과 관련된 경제의 활동기운'을 줄인말
내수경기: '국내수요와 관련된 경제의 활동기운'을 줄인말
물가 : 물건의 가격을 줄인말
물가지수: 물가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뛰었나 조사한것
소비자물가지수: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물건의 가격을 조사한 것
생산자물가지수: 생산자, 즉 사장님들에게 중요한 각종 물건(원자재)의 가격을 조사한 것
인플레이션: 물가상승을 영어
디플레이션: 물가하락을 영어
스태그플레이션: 경제가 엉망진창인데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
금리 : 이자가 원금에서 차지하는 비중. 예를 들어 100원을 빌리고 이자 10원을 주었다면 금리는 10%
금융: '돈의 융통'을 줄인말
금융정책: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양을 조절해 '우리나라 좋은나라'를 만드는 정책
재정정책: 정부의 씀씀이를 조절해 '우리나라 좋은나라'를 만드는 정책
금융기관: 돈을 융통해주는 기관
제1 금융권: 은행을 가리키는 말
제2 금융권: 은행을 제외한 제도권 금융기관을 가리키는 말
제3 금융권 : 대부업체를 가리키는 말
자본: 돈을 낳는 돈. 예)100원으로 풀빵 사먹으면 그냥 돈, 밀가루 사서 장사하면 자본
국채: 대한민국 정부가 돈을 빌리고 발행하는 아주 특별한 차용증
국고채 금리: 대한민국 정부가 돈을 빌릴 때의 금리
콜금리: 은행들끼리 급전을 땡길 때의 금리
기준금리: 한국은행과 일반은행이 돈을 거래할 때의 금리
여신: 은행이 우리에게 대출 해주는 것
수신: 우리가 은행에 예금하는 것
여수신 : 여신과 수신을 줄인말
여신금리: 우리가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의 금리
수신금리: 우리가 은행에 예금할 때의 금리
회사채: 삼성전자, 현대자동차 같은 회사가 돈을 빌리고 발행하는 아주 특별한 차용증
화폐: 순수 우리말 '돈'에 해당하는 한자어
통화: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폐
중앙은행: 돈을 찍어내는 은행
유동성: 돈, 그리고 돈 비슷한 그 무엇
환율 : 외국돈과 우리돈의 교환비율
평가절상: 우리돈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
평가절하: 우리돈의 가치가 내려가는 것
환차익: 환율변동으로 땡 잡는 것
환차손: 환율변동으로 피 보는 것
기축통화: 국제거래에서 기축(基軸), 즉 중심이 되는 돈
외화 : 달러, 유로같은 외국 돈
외환: 달러나 유로 같은 외국 돈 + 수표나 어음처럼 외국과 거래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교환수단
외환시장: 외환, 즉 외국 돈을 사고파는 시장
외환보유고: 한국은행과 대한민국 정부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챙겨 놓은 달러
외환위기: 외환, 쉽게 말해서 달러가 없어서 발생하는 위기
외채: 외국에 갚아야할 빚
모라토리엄: 빚 갚기가 힘들어요. 빚을 좀 천천히 갚으면 안될까요? 한번만 봐주세요
디폴트: 빚 못갚는다. 배째라.
리보금리: 영국 런던에 소재한 은행들끼리 돈을 융통할 때의 금리
국제수지: '국제거래에서 발행산 수지타산'을 줄인말
경상수지: '경제적으로 항상 있는일로 발생한 수지타산'을 줄인말
달러인덱스: 미국 돈 달러의 전투력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변화되었나 조사한 것
증권: 권리를 증명하는 종이쪼가리를 줄인말
유가증권: '유가' 즉 돈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종이쪼까리. 대표적인 것이 주식과 채권
주식: 주식회사의 소유권
채권: 대한민국 정부나 유명한 회사가 돈을 빌리고 발행하는 아주 특별한 차용증
펀드: 거사(?)를 꾸미기 위해 모인 돈
주가지수: 주가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뛰었나 조사한 것
코스피: 대한민국 모든(?) 주식의 가격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뛰었나 조사한 것
재무제표: 기업이 작성하는 가계부
프로그램매매: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대량주문을 한꺼번에내는 것
현물: 현장(?) 박치기
선물: 미리 계약하는 것. 예)2200년에 석유 한방울을 1달러에 사고 팔기로 해요
선물환: 미리 외국돈을 사고팔기로 계약하는 것. 예)2200년에 1달러를 100원에 사고 팔기로 해요
옵션: 내 꼴리는 대로 하고 싶어요
콜옵션: 사고 싶으면 사고, 사기 싫으면 안 살거야!
풋옵션: 팔고 싶으면 팔고, 팔기 싫으면 안 팔거야!
ㅎㅎ 어떠셨나요? 어렵게 설명하지 않고 쉽게 이해되도록 설명되어있지 않나요? 구글펌입니다. ^^
'생활과경제 > 경제경영 용어설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손익계산, 수익과 이익 비용의 개념정리 및 관계이해하기 (0) | 2017.04.01 |
---|---|
기준금리 의미와 2010년이후 한국은행 기준금리변화 (0) | 2017.03.28 |
가중주가평균이란 무엇인가 (0) | 2017.03.24 |
가격결정 , pricing 란 무엇인가 , 가격결정의 과정 (0) | 2017.03.23 |
국민세금인 간접세와 직접세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17.03.20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국가별인구수
- 계약조건에따른거래형태
- RANK역순위
- 가격결정과정
- 공간임대
- 특정매입
- 엑셀왕초보강좌
- 세금종류
- RANK순위
- 기초경제용어
- 헬조선
- 비용개념정리
- 엑셀데이터입력
- 인도인구수
- nice지키미
- rank함수
- 엑셀직장인실무
- 엑셀초보팁
- 엑셀숫자를문자로
- 수익과이익
- 가압류정의
- 서울전세
- 손익계산
- 한국은행금리
- 가압류신청
- 한국은행기준금리변화
- 젊은층주거문제
- 가구와가구주
- 채무자구제
- 부동산용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